Learning Man

빈 종이가 두렵다면, 프리라이팅

June 21, 2020

EDDY

단순히 기술이 뛰어나다고 좋은 글을 쓰는 건 아니다. 좋은 글을 결정하는 많은 부분은 마음가짐과도 관련 있다.

글쓰기는 두려운 일이다. 번지점프를 하기 전에 누구나 움츠러들듯이.

글쓰기를 시작하면 (또는 시작해야한다고 생각하기만 해도) 부정적인 감정이 몰려온다. 내가 형편없는 글을 쓴다는 두려움. 빈 페이지의 공포. 쓰고 싶지 않은 기분

‘이게 말이 돼?’ ‘쓸 말이 없는데?’ 같은 글쓰기의 두려움은 본능에 가깝다. 그래서 글쓰기는 누구에게나 쉽지 않은 일이다. 키보드를 치는 일이 힘든 게 아니다. 두려움을 이기는 일. 생각을 꺼내놓는 일. 거침없이 밀고 나가는 게 어렵다. 정신력 싸움이다.

그래서 내가 매일 하는 루틴이 있다. 그중 하나는 이미 소개한 매일 글쓰기다. 다른 하나는 ‘프리라이팅’이다.

이 프리라이팅은 그냥 글쓰기와는 좀 다르다. ‘모닝 페이지’와 ‘프리라이팅’이라는 유명한 연습법을 짬뽕한 루틴이다. 먼저 모닝 페이지와 프리라이팅이 뭔지 알아보자.

모닝 페이지

<아티스트 웨이>는 유명한 베스트셀러다. 특히 작가들 사이에선 필독서로 꼽힌다. 작가, 크리에이터가 어떻게 자신의 창조성을 끌어낼 수 있는지 알려준다. 아티스트 웨이에 나오는 창조성 트레이닝의 핵심. 그게 바로 ‘모닝 페이지’다.

artists_way

모닝 페이지 하는 방법은 단순하다. 매일 아침 일어나, 공책을 편다. 머릿속에 떠오르는 의식의 흐름을 적는다. 절대 고치지 않는다. 뒤로 돌아가지도 않는다. 그냥 흐름을 따라 떠오르는 대로 쭉 적는다.

예를 들면 이런 식이다. “어휴, 또 월요일 아침이다. 모닝 페이지를 시작했다. 정말 쓸 말이 없다. 참 이불을 빨아야지. 그건 그렇고 오늘 서점에 가야 하나? 그 책 읽어봐야 한다. 어쩌고저쩌고…”

아무런 평가나 판단도 하지 않고 쓰는 게 핵심 규칙이다. 잘못 쓴 모닝 페이지는 없다. 멋있게 쓸 필요도 없다. 남에게 보여줄 글이 아니다. 그냥 의식의 흐름을 쓰면서 매일 아침 3페이지를 채운다.

일반적인 글쓰기와는 좀 다르다. 대신 매일매일 의식처럼 꾸준히 해야한다. 구성이 갖춰진 글을 쓰는 게 아니니까 마음을 편하게 먹으면 된다.

간단한 방법이다. 하지만 이 모닝 페이지를 꾸준히 실천한 수많은 아티스트들이 효과를 봤다고 한다. 더 많은 영감을 얻고, 창작에 힘을 받았다. 그래서 유명해진 방법이다.

프리라이팅

프리라이팅(Freewriting)은 피터 엘보의 <힘있는 글쓰기>에서 본 방법이다. (글쓰기에 관심 있다면 꼭 추천하는 책이다) 말 그대로 ‘자유롭게 쓰기’다. 시간을 정해놓고 생각나는 대로 쓴다. 다만 쓰는 동안 내용에 대한 판단을 절대 미뤄둔다.

writing_power

자유롭게 쓰기는 내가 아는 한 최고의 만능 연습법이다. 그저 10분간 멈추지 않고 강제로 쓰면 된다.

때로는 좋은 글이 나오겠지만, 그건 우리의 목표가 아니다.

때로는 가속이 붙겠지만 속도는 우리의 목표가 아니다.

쓸 게 아무것도 생각나지 않으면 그게 어떤 느낌인지 써라. 쓸 게 없다는 말이라고 반복해 써라.

요점은 계속 쓰는 것이다.

— 피터 엘보

검열관을 무시해라

모닝페이지와 프리라이팅은 규칙과 목적이 조금 다르다. 하지만 본질은 같다.

이 두 연습법의 기본 전제는 이렇다.

  1. 우리가 글을 쓰는 데 필요한 창조성이나 아이디어는 이미 내 안에 쌓여 있다
  2. 하지만 우리 머릿속의 비판하는 마음이 그걸 억압한다.
  3. 이 마음은 본능에 가깝지만, 억지로 무시하고 글을 쓰는 연습을 꾸준히 한다면 극복할 수 있다.

나는 여기에 100% 동의한다. 글을 쓸 땐 항상 머릿속에서 나를 비판하고 평가하는 마음이 등장한다. 모닝페이지에선 이걸 좌뇌에 사는 ‘검열관’이라고 부른다. 논리적이고, 앞뒤가 맞는 글을 쓰게 도와주는 친구다.

하지만 글을 처음 쓰거나, 아니면 자기도 아직 무엇인지 잘 모르는, 내면의 아이디어(그런 게 보통 창의적이다.)를 꺼낼 땐 이 친구 때문에 괴롭다. “그걸 글이라고 쓰냐?” “이건 앞뒤가 안 맞는 말인데” 이런 식으로 계속 머릿속에서 딴지를 걸기 때문이다.

글을 멈추고 끙하고 신음을 낼 때가 있다. 대부분은 생각이 멈추어 서가 아니다. 이 검열관의 비판에 걸려서 무의식적인 아이디어가 적당한 말로 바뀌지 못하기 때문이다.

모닝페이지와 프리라이팅은 엄격하게 이 검열관을 무시하는 연습법이다. 마음속 비판을 옆으로 치워놓고 무시하는 거다. 그냥 자유롭게 쓰자. 그러면 우리 안에 쌓여있는 아이디어를 퐁퐁 솟아오르게 만들 수 있다.

나는 이 두 책의 조언을 따라서 프리라이팅을 꽤 오랫동안 하고 있다. (모닝페이지랑 프리라이팅의 짬뽕이지만, 일단 그냥 프리라이팅이라고 부르고 있다) 남들에게 보여주는 매일 글쓰기와는 별개다. 누구에게도 보여주지 않는, 나만 보는 프리라이팅을 매일 한다.

정말 효과가 좋고, 글 쓰는 사람이라면 꼭 추천하고 싶다. 뭐가 좋냐고? 난 3을 좋아하는 3층이니까 3가지로 정리해봤다.

정신 건강에 좋다

프리라이팅을 하면 일단 기분이 좋다. 묘한 해방감을 준다. 가끔 고민이 많을 때 하면 상쾌한 느낌까지 든다.

프리라이팅은 명상과 무척 비슷하다. 명상의 핵심은 반응하거나 판단하지 않으면서 내 생각과 감정을 바라보는 것이다. 이걸 글로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. 생각과 감정을 그대로 적는다. 글을 판단하고 평가하지 않는다. 흐름을 따라 그냥 쭉 써 내려간다.

‘내가 이런 생각을 하고 있었다니?’ ‘내가 이런 기분이었나?‘라는 생각이 들 거다. 내 머릿속에 둥둥 떠다니던 생각이 형태를 갖추어 눈앞에 나타나기 때문이다. 나도 몰랐던 무의식을 알아차리게 된다.

대부분 스트레스는 나도 잘 모르는 무의식에서 생겨난다. 보통 원인은 깊은 의식 속에 있다. 그러니 팔을 걷어붙이고 길어올려보는 거다. 보이지 않는 밑에 뭐가 있는지 들여다본다. 그러면 정체가 드러나고, 저절로 치유되곤 한다.

셀프 심리 상담이랄까. 내가 내 말을 들어주면서 위로받는 느낌이다.

글감이 떨어지지 않는다

‘뭘 써야 하나?‘. 글쟁이의 가장 큰 고민거리다. 하지만 프리라이팅을 꾸준히 하면 어느 정도 해결이 된다.

검열하지 않으면서 30분 동안 의식의 흐름을 써보면 어느 정도의 양을 쓸 것 같은가? 생각보다 엄청 많은 양의 글이 나온다. 아마 해보면 놀랄 거다.

물론 이 중 대부분은 두서없고 조각난 말들일 수 있다. 나는 다 써놓고 나서 이걸 한번 쭉 읽어본다. 이 중에 분명히 1~2개는 좋은 글감이 눈에 띈다. 조금만 다듬고 요리하면, 맛있는 글이 될 법한 소재가 항상 있다.

이를테면 오늘 아침에는 프리라이팅을 하는데, 머릿속에서 ’ 엘론 머스크…. 엘론 머스크가 하는 회사… 뇌끼리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기계… 사람들의 의사소통이 어떻게 바뀔까… 의사소통이 잘 안 되어서 일어나는 조직의 흔한 문제…’ 뭐 이런 생각 흐름이 떠올랐다. 그러면 나중에 이 중에서 골라내서 의사소통과 조직에 대한 내 생각을 쓸 수도 있다. 아니면 뇌간 통신 기술을 좀 더 조사해서 정리할 수도 있고.

그래서 나는 프리라이팅을 꼭 30분 하고 나서, 매일 글쓰기를 한다. 그날 생각의 흐름에서, 적당한 것을 골라 다듬는 거다. 이게 내 아침 루틴이다. 이러면 빈 종이를 쓰면서 ‘뭘 쓸까?’ 고뇌하는 것보다 훨씬 쉽게 글을 쓸 수 있다.

just_write

글에 힘이 생긴다

프리라이팅으로 캐낸 재료는 신선하다. ‘오리지널리티’가 있다고 해야 할까? 온전한 내 생각이기 때문이다. 묘하게 그런 재료로 글을 쓰면 글에 힘이 더 실린다.

구글 검색으로 찾아서 그냥 정리한 글. 내 머릿속에 있는 아이디어를 담아서 쓴 글. 이렇게 2개가 있다고 하자. 문장력은 똑같아도, 후자가 훨씬 더 매력 있다.

경험상, 읽는 사람의 반응도 확실히 다르다. 독자들은 눈썰미가 좋다. 원재료가 좋은 글은 귀신같이 알아차린다.

결론

글쓰기가 어렵게 느껴지는가? 기술보다 정신력 훈련이 먼저일 수 있다. (마음속 검열관은 프로작가에게도 어렵고 매일매일 극복해야 하는 대상이다.)

만약 그렇다면 프리라이팅이나 모닝페이지를 해보자. 아마 1달 정도로는 이게 뭔가 싶을 거다. 하지만 2~3달 꾸준히 해보자. 매일 글 쓰는 습관과 연결하자. 정말 큰 변화가 있을 거라 확신한다.

스타트업, VC, 창업, 기자, PD를 거쳐 개발자로 일하고 있습니다. 글을 잘 쓰고 싶어서 매일 씁니다. 더 자라기 위한 고민을 많이 합니다. 배우는 걸 좋아해서 러닝맨을 시작했습니다.

© 2024Learning Man